강원평화특별자치도
설치추진계획
추진 필요성
-
강원도 가치 증진과 발전 기회 마련 과도한 규제 해소, 국가 균형발전 실현
지방분권을 통한 지역 발전의 신성장 동력 확보 -
남북교류협력 기반 평화모델 마련 지속 가능한 남북 공유자원 활용
남북 경제 협력을 통한 공동의 수익 모델 수립 -
북방진출 교두보 선점 통일·북방경제 시대를 대비한 경제 영역 확대
토대 마련(철도, 도로, 항만 등) -
한반도 평화 정착과 공동 번영 수려한 생태자원과 문화적 유사성, 지리적
접근성을 활용한 통일의 시범지역 조성
추진 전략
-
추진 기반 구축
- 1단계 기본구상 준비 및 공론화
- 2단계 정부 건의 및 협의 추진
- 3단계 민간 중심 대정부 대응
-
추진체계 구축 및 제도 마련
- 1단계 정부 추진기구 설치
- 2단계 특별법 제정 추진
- 3단계 기본사업 추진 방향 설정
-
사업 추진(확대·활성화)
- 1단계 남북강원도 대북 접촉 및 협상
- 2단계 주요사업 선정 및 추진
- 3단계 사업 확대 및 활성화
미래 비전


구 분 | 특 징 |
---|---|
철원 - 평강 평화영농지대 |
철원 통일경제특구 특별집중 군 농업협력 지역 조성(1단계) 농업협력 통로 조성(2단계) 철원평야를 활용한 대단위 남북 공동 농업 협력지역 철새도래지를 통한 몽골 · 동북 3성 등 대륙동포 정책 |
양구 - 창도 - 금강 문화관광자립지역 |
스포츠 · 문화 특구 지역 통일대비 금강산 관광 SOC투자(내륙관문거점지역) 남북강원도 평화마을복원프로젝트 남북협력 농업 생산 전초기지 조성 |
화천 - 김화 수자원 평화이용지대 |
북한강 수계 발원 한반도 수생태계 연결 임남댐을 이용한 수력발전의 평화적 이용 |
춘천시 접경지역 5개 시군 지원 |
남북한 직접 협력사업 추진 협력 콘텐츠 개발, 준비, 진행 강원도청 남북협력 컨트롤 타워 남북 교류협력과 중심 |
내륙 평화특별자치도 지원 지역 |
내륙 6개 시군 (홍천, 횡성, 원주, 평창, 영월, 정선, 태백) 남북교류협력사업 생산품 가공 및 유통기지 강원도청 남북협력 컨트롤 타워 지역특성(바이오, 의료, 에너지 등) 을 반영한 지역기반 특화사업 활성 |
금강 - 설악 국제생태관광지구 |
백두대간 남북생태계(향로봉 중심) 복원 DMZ(동서축)와 백두대간(남북축)의 공동생태축 복원 설악 - 금강 세계자연문화 복합유산 유네스코 등재 추진 산림특화 경제협력지구 지정 추진 국제 관광 문화 콘텐츠 개발 및 역량 강화 |
DMZ 국제평화문화생태공원 |
고성-철원까지의 DMZ 전 구간 지역별 사업과 연계한 테마형 문화생태 공원 단계적 조성 금강 - 설악관광지구와 연계 개발 생태자원조사/사업추진/국제유산 등록 |
고성군 남북일제 | 고성 통일경제특구 특별집중 군 동해안 평화지대(NLL) 접근 전략 공동어로, 수산종묘센터, 바다목장 등 어업협력 PEACE STAY, 한국전쟁 천도제 등 동아시아 평화 테마 자원 개발 화진포, 김일성 별장 등 자원 활용 |
해안자원 공동이용 협력지역 |
남북 수산자원 공동이용 확대 교류 대상지역 도로, 항만, 철도 등 교통망 활용한 수산물 가공 이동 양양 · 원산 공항 활성 |